반응형
범용 인증서 개인 인증서
목적 | 다양한 기관·서비스(은행, 민원24, 홈택스 등)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인증서 | 특정 서비스(예: 특정 은행, 홈택스 등) 전용으로 사용 |
사용 범위 | 광범위 (금융거래, 공공기관 민원, 세금 신고 등) | 제한적 (발급받은 기관이나 서비스 안에서만 사용) |
발급 비용 | 유료 (보통 연 4천원~5천원, 경우에 따라 무료 제공도 있음) | 무료 (대부분) |
대표 발급처 | 한국정보인증, 금융결제원 등 | 개별 은행, 카드사, 홈택스 등 |
예시 |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중 범용용도 | 국민은행 인증서, 홈택스용 인증서 등 |
요약
- 범용 인증서는 여러 곳에서 두루두루 쓸 수 있는 "만능 열쇠" 같은 것이고,
- 개인 인증서는 특정 기관에서만 쓸 수 있는 "전용 열쇠"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됩니다.
예를 들어, 다양한 기관을 이용할 예정이면 범용 인증서가 편하고, 특정 서비스만 이용한다면 개인 인증서로 충분합니다.
하지만 세금 신고와 은행 업무 둘 다 하시려면,
범용 인증서를 발급받는 게 편하고 확실합니다.
이유는 간단합니다:
- 세금 신고(홈택스): 개인 인증서(예: 홈택스 전용 인증서)로만도 가능하지만,
- 은행 업무(인터넷뱅킹, 이체 등): 범용 인증서가 있어야 대부분의 은행과 금융기관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요.
- 그리고 **나중에 다른 곳(민원24, 국민연금 등)**에서도 필요할 때 범용 인증서 하나로 다 처리할 수 있어서 훨씬 편합니다.
정리
범용 인증서 개인 인증서(홈택스 전용 등)
세금 신고 | 가능 | 가능 |
은행 업무(여러 은행) | 가능 | 불가 또는 제약 많음 |
추가로 다른 업무(민원24, 연금 등) | 가능 | 불가 또는 제약 |
참고
- 요즘은 **은행 앱(예: KB국민은행, 우리은행 등)**에서 발급하는 '개인 인증서'만으로 은행업무를 지원하는 경우도 있지만,
여러 은행을 오갈 거면 범용이 훨씬 수월합니다.
비용은 연 4,400원 정도(기관마다 다소 차이 있음) 발생할 수 있어요.
결론:
👉 세금 신고 + 은행 업무 둘 다 하려면 범용 인증서 발급 추천드립니다.
반응형